글 최용수 차의과학대 바이오공학과 교수 의료시장은 전통적인 합성의약품에서 단백질 기반 의약품, 항체의약품, 세포치료제, 유전자 치료제와 같은 바이오의약품으로 대체되고 있다. 현재도 수많은 바이오의약품이 임상시험 과정에서 성공과 실패를 거듭하며 질병 …
글 최용수 차의과학대 바이오공학과 교수이번 연재에선 미토콘드리아를 통한 염증반응과 세포재생 신호에 대해 고찰하려 한다. 더 나아가 미토콘드리아 신약 개발에 필요한 기술과 세포치료제 분야에서 미토테라미 기술의 확장성에 대해 알아본다.DAMP와 미토콘드리아 메시지체내 감염…
글 최용수 차의과학대 바이오공학과 교수미토테라피는 차세대 치료법으로 부상하고 있으나, 이식한 미토콘드리아가 내놓는 신호물질들이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이번 연재에선 그동안 잘 알지 못했던 미토콘드리아의 기능을 알아보고자 한다. 세포 안으로 외래 미토콘드리아…
글 최용수 차의과학대 바이오공학과 교수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세포에서 분리한 뒤 퇴행성 뇌질환 동물모델에 주입했더니 인지능력과 행동능력이 호전됐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.유전자 변이는 질병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새 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주기도 한다. 유…
글 최용수 차의과학대 바이오공학과 교수 지난 6월 세계 최초로 동종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한 임상시험이 국내에서 승인됐다. 동종 줄기세포에서 분리한 미토콘드리아를 다발성근염 환자에게 투여하는 임상 1·2a상 시험이다. 지난 수십 년간 미토콘드리아를 표적하는 약물이…